관행농업을 그만둬야 하는 이유

유튜브 영상을 보는데 땅 위에 낙엽을 올려두면 땅이 딱딱해지지 않고 보슬보슬하다는 내용이 나왔다. 흙이 보슬보슬하다는 것은 영양이 풍부하다는 것이고 식물의 뿌리가 뻗기에 좋다는 것이다.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낙엽이나 시든 풀 같은 것을 흙 위에 올려놓으면 그것을 흙의 미생물들이 먹으면서 흙이 식물이 자라기에 좋게 변하는 것이겠지. 그런데 자연은 어쩌다가 이렇게 만들어지게 된 것일까? 이렇게 안 만들어질 수도 있었잖아?

잠시 생각해보니 결론이 나왔다. 이렇게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인류도 살아남지 못했을 거야. 그러니까 계속 순환하기 때문에 인류가 지금까지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이고, 나도 태어날 수 있었던 거야.

그러니까 인간이 자연보다 멍청하다는 거야. 자연의 순환의 방식이 최고라는 거야. 그것을 추구해야 한다는 거야.

농작물을 더 많이 수확하기 위해서 관행농업이라는 것을 개발했지만 풀을 다 없애버리고 흙만 남기면 물이 너무 빨리 증발해서 사막처럼 변하고 딱딱하게 돼. 그러면 기계로 갈아엎어야 하고 기계가 지나간 자리는 윗부분은 부드러울지 몰라도 그 밑은 더 딱딱해지는 거야.

그러면 식물이 깊게 뿌리를 내리지 못하게 돼서 잘 크지 못하게 돼. 또한 비가 오면 물이 땅 속에 스며들지 못해서 밭이 쉽게 물에 잠기게 된다.

또한 농약을 써서 진딧물을 없애면 진딧물을 잡아먹는 무당벌레도 죽어. 그곳에 진딧물이 한마리라도 다시 유입되면 천적이 없어진 진딧물은 기존보다 훨씬 더 번성하게 되는 거야. 그러면 더 독한 농약을 자주 사용할 수밖에 없는 거야.

그런식으로 독한 농약을 자주 사용하게 되면 인간의 몸에도 해로운 작용을 하고, 땅을 오염시켜서 농작물도 잘 크지 못하게 만들어.

사실 길게 얘기할 필요가 없어. 인간이 생각해낸 방법이 틀렸다는 거야. 잘못됐다는 거야.

지금까지 인간이 개발한 농사 기법 중에서 좋은 것도 많을 거야. 그러니까 인류가 이렇게 번성할 수 있었겠지. 하지만 분명히 잘못된 것도 있는데, 그것을 왜 고치지 못하냐는 거야.

꼭 자연스러움만 추구할 수는 없을 거야. 애초에 농사부터 부자연스러운 거라고 할수도 있을테니까 말이야.

예를 들어서 자연 그대로를 유지하는 산 중턱에 농사를 지어서 내가 돈을 벌려면 기존의 산의 모습이나 환경을 그대로 유지시키지는 못할 거잖아. 어떤식으로든 간섭을 하는 거잖아.

하지만 그래도 나만 생각하면 안 되는 거잖아. 그게 지속 가능하지 않고 문제가 발생하면 고쳐야 하잖아. 다른 방법을 찾거나 이전의 방식으로 되돌려야 하잖아. 왜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고 있냐고…

그러니까 우리는 자연에 최대한 덜 해롭고, 지속 가능한 방법을 새로 찾아야만 한다.

나는 농사를 지어보지 않아서 이렇게 해야 한다고 답은 못 내린다. 하지만 내가 이런 얘기를 하는 이유는 현재의 관행농업이 각종 문제를 발생시킨다는 것은 조금만 검색해도 알 수 있는 진실이기 때문이다.

그 잘못된 농사로 인해서 나를 포함한 모두가 피해를 입는다. 자연이 파괴되고 건강에 해로운 음식이 식탁 위에 올라오고…

사실 이것은 농부들만의 문제는 아니다. 예쁜 과일이나 채소가 몸에는 해로울 수 있다는 것을 다수가 알아야만 농부들도 농사 방식을 바꿀 것 아닌가?

도대체 어쩌다가 이런 잘못된 인식과 방법들이 사람들에게 이렇게까지 깊숙하게 뿌리를 내리게 된 것일까?

자연을 덜 해치면서도 더 편하고 더 몸에 좋은 농작물을 많이 수확할 수 있는 방법은 자연에 있다고 생각해. 이미 수백 수천년간 입증된 자연의 방식이 있잖아. 그것을 배우고 이용하려고 해야 한다는 거야.

This entry was posted in 식물 키우기 팁, 후기. Bookmark the permalin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